숲사랑기자단 NEWS
지구온난화와 환경오염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
---|
⦁ 등록일 2023-07-21 ⦁ 작성자 오민호 |
하지만 환경오염에 대해서 제대로 있는 것일까? 생활 속 환경오염이 생물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 5학년 초등학생과의 인터뷰- Q.환경오염이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A.환경오염이란 인간같은 특정한 생물이 지구를 오염시키는 것 같다. Q.환경오염중 아는 사례는 무었이 있나요? A.북극 빙하가 녹고 특정 나라가 잠기는 사례와 북극곰 같은 생명체가 서식지를 잃는 것, 지구온난화로 인해 이상기후가 나타나는 것 등을 알고 있다.
"환경오염"이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 따르면 ‘인간의 각종 활동으로 배출되는 매연·분진·악취·소음·진동·오수·오물·폐기물·방사능물질 등이 생활 환경을 오염시켜 인간 또는 생물의 건강·생존·활동에 장애를 주는 오염현상’ 을 말한다. 환경오염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를 알아보자>>> ![]()
출처 : 지구온난화로 사라져가고 있는 퍼핀 – 위키백과 사례 1. -지구온난화로 사라져가고 있는 퍼핀 퍼핀이 좋아하는 먹이인 ‘sand eel’은 찰물에서 사는 물고기인데, 지구 온난화로 인해 수온이 상승하고 수온 상승으로 인해서 수가 감소하고 있고 그에 따라 퍼핀의 수도 덩달아 수가 감소하는 것이다. 이일은 지금도 일어나고 있다. ![]()
출처 : 암컷의 성비가 높아지고 있는 바다거북 – 위키백과
사례 2. - 기온 상승으로 암컷의 성비가 높아지고 있는 바다거북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미국 플로리다주에서 최근 수년간 바다거북이 낳은 알들이 모두 암컷으로 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1986년부터 플로리다 키스제도의 거북이들을 보호·연구해온 거북병원 측은 "플로리다의 여름 기온이 지난 4년간 가장 높았다"며, "해당 기간에 부화한 이 지역 바다거북을 연구한 결과 모두 암컷이라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보통 포유류 동물은 수정될 때 새끼의 성별이 이미 정해지지만 바다거북은 알이 부화할 때의 온도에 따라 성별이 결정되는데, 이때 섭씨 27.7도 이하에서 부화하면 수컷, 섭씨 31.5도 이상에서 부화하면 암컷이 된다. 그러나 지구 온난화로 바다거북이 알을 낳는 해변 모래의 온도가 상승하면서 수컷이 사라지고 있다는 건데, 전문가들은 "바다거북들의 암수 성비가 무너지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 몇 년 뒤면 유전적 다양성이 사려져 이들의 개체 수가 급격히 줄어들 것"이라고 우려를 드러냈다. ![]()
출처 : 미세 플라스틱의 검출 - 위키백과
사례 3. 생물의 미세 플라스틱의 검출량 증가 2021년부터 약 2년동안 그린피스는 대만의 외진 숲에 서식하는 동물의 배설물과 서식지의 물을 샘플링하고 분석했다. 이번 연구는 보호대상으로 지정된 육상동물종의 배설물과 서식지 물 샘플을 대상으로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되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대만 최초로 진행되었다고 한다. 그린피스는 광범위하고 심층적으로 미세플라스틱 검출 및 측정을 진행하였는데, 조사 결과는 놀라웠다. 현지 전문가들과 동물 5종의 배설물 샘플 112개를 조사한 결과, 플라스틱 파편과 섬유 등 미세플라스틱 조각 604개가 발견 되었다고 한다. 일부 동물의 배설물 샘플에서는 미세플라스틱의 농도 수준이 가축화된 소보다도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또한 동물들의 서식지 물 샘플에서도 미세 플라스틱이 검출되었다고 한다.
출처 : 나무위키. 망고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우리나라의 열대과일 재배 지역이 늘고 있다 사례 4.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열대과일 재배 지역의 증가. 원래 귤은 온도가 비교적 높은 제주도에서만 나는 아열대 과일이다. 근데 요즘 들어 육지에서도 귤을 많이 재배할 수 있다. 귤만이 아니라 망고, 바나나, 파파야, 패션후르츠 등 같은 아열대 과일도 국산으로 재배되고 있다. 이는 모두 지구온난화의 영향이다. 한여름 선풍기와 에어컨의 CO2 배출량의 차이를 알아보면 선풍기는 328분에 12kg의 CO2를 배출하는데 그의 비해 에어컨은 173분 선풍기보다 훨씬 적은 시간에 101kg의 CO2를 배출한다. 배출된 CO2는 지구온난화를 가속 시키고, 생태계의 혼란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 우리의 편리함과 쾌적함이 지구 온난화와 환경오염의 시작이라면 지구를 아끼고 사랑하는 마음으로 서로 조금은 불편하더라도 환경과 자연을 지키기 위해 작은 실천을 시작해야겠다.
특별대원 오민호 기자 |